esg_02.jpeg
ESG 경영이란?
‘ESG’란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것으로, ‘ESG 경영’이란 장기적인 관점에서 친환경 및 사회적 책임경영과 투명경영을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활동을 의미합니다. 

ESG 현황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업과 투자자의 사회적 책임이 중요해지면서 세계적으로 많은 금융기관이 ESG 평가 정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영국(2000년)을 시작으로 스웨덴, 독일, 캐나다, 벨기에, 프랑스 등 여러 나라에서 연기금을 중심으로 ESG 정보 공시 의무 제도를 도입했고, UN은 2006년 출범한 유엔책임투자원칙(UNPRI)을 통해 ESG 이슈를 고려한 사회책임투자를 장려하고 있습니다.

2021년 1월 14일 금융위원회는 우리나라도 국내기업들을 대상으로 ESG 공시가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의무화 될 예정인 가운데 국제 ESG 공시 기준이 될 ISSB 기준이 지난 3월 초안을 발표하는 등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에 대기업을 중심으로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전담조직을 확충하고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작성 등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앞으로 ESG는 국내 산업계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되며 기업들은 독일의 공급망 ESG 실사법 시행 등 내년에 발생되는 주요 ESG 이슈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esg_04.jpg
Environmental
환경
----------------------- 
청청기술
기후변화/탄소배출
그린빌딩/스마트성장
환경오염 및 유독물질 배출
천연자원/농업 등
esg_03.jpg
Social
사회
---------------------
고용평등/고용다양화
인권
노동
테러/억압 등
esg_05.jpg
Governance
지배구조
----------------
이사회
임원 보수
정치 후원
기타 지배구조 등
중대재해처벌법 대응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ISO45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45001 도입과 기업내 실질적 적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안전보건경영체계 수립, 각 공정별 위험성 평가 및 관리, 주기적 이행점검
    🔸단순히 인증 취득이 목적이 되어서는 안되고, 실질적인 사내도입, 교육, 훈련이 필요
    🔸 ISO9001, ISO14001과 함께 통합시스템 구축 용이
    🔸 2024년부터 "5인이상 사업장"도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지금이 대응하여 준비해야할 골든타임!!!

ISO9001ISO14001ISO45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ISO9001 인증의 효과

세계적인 품질경영 전문가들이 만든 품질경영 표준으로,
1. 해외거래처 대부분이 ISO인증 요구, 수층증대
2. 체계화된 사원 교육 프로그램 확보, 매년 점검 및 재교육 가능
3. 조직내 책임과 권한의 명확화
4. 제조물책임(PL)제도의 최고의 대응책
5. 정부구매시 인증획득 기업 제품에 대한 지명경쟁 입찰 및 수의계약 가능
6. KS 표시허가 심사시 공장심사 면제(산업표준 시행규칙 16조 및 22조)
7. 병역측례 지정업체 추천기준에 포함
8. 단체 수의계약 물량 배정 기준상 수혜기준 40% 적용
9. 기술신용보증기금의 기술우대 가산점 부여
10. 건설기준관리법상 시공능력평가 및 용역능력평가 가산점 부여
11.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른 기술비 세액공제 (조특법 시행령 제9조)
 ISO14001 인증의 효과

1. 환경친화적 기업 이미지 개선으로 매출증대
2. 해외거래처 대부분이 ISO인증 요구, 수출증대
3. 대 주민 환경민원 감소 및 설득력 확보
4. 환경법령/법규 위반 가능성의 감소
5. 폐기물 처리비용 감소, 원자재 및 에너지 절약
6. 환경, 안전사고 Zero화로 관련비용 절감
7. 사업의 지속성을 위한 법규 및 규정에 대한 예측 및 대처능력
8. 시장 경쟁력 확보
9. ESG경영에 근간이 됨
 ISO45001 인증의 효과

1. 산업재해 예방과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의 시대적 요구
2. 중대재해처벌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관련 규제법안들에 대한 대처
3. 작업장내 위험성을 관리, 예방하여 재해사고율 감소
4. 근로자의 보건안전 위험성의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
5. ISO9001, ISO14001과 함께 통합시스템 구축 용이